박스를 성형하는 방법 – (Die Cutting)톰슨(도무송) 공정
패키지 박스 제작은 네모 반듯한 종이에서 시작됩니다. 이 종이는 그 자체로는 사용할 수 있는 박스 형태가 아니므로, 원하는 사이즈와 모양으로 잘라내고 접어 완성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공정이 바로 톰슨(도무송) 공정입니다.
톰슨 공정은 단순히 종이를 자르고 접는 과정을 넘어, 정밀한 작업과 숙련된 기술을 요구합니다. 정확한 절단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박스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기술진의 노하우가 품질을 좌우합니다. 바른상자는 이러한 공정을 통해 다양한 형태와 용도의 박스를 제작하며,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1. 톰슨(도무송) 공정의 이해
1) 패키지의 틀을 만들어 내다 | 도면 작업 및 목형 제작

(1) 도면 작업
패키지 제작의 첫 단계는 도면 작업입니다. 기획이 완료되면, 박스의 형태와 크기, 재질 등을 고려한 정밀한 도면이 만들어집니다. 도면은 목형 제작의 기반이 되며, 이후 샘플링 과정을 통해 디자인의 적합성을 검증합니다. 최종적으로 도면이 확정되면 절수작업을 진행합니다. 정해져 있는 종이 사이즈 안에 최적화된 배치를 통하여 로스율을 낮추고 단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목형 제작

도면 작업이 확정되면, 목형 제작이 진행됩니다. 목형은 박스의 성형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필요한데요. 목형은 유효기간이 있긴 하지만, 어느 정도는 반 영구적 사용이 가능합니다. 보통은 2~3년 정도는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지요! 목형은 정밀 레이저 기계를 사용해 도면에 따라 절단칼과 접는 선(오시)이 들어갈 부분을 정교하게 가공하여 칼이 들어갈 구멍일 미리 뚫어 놓습니다. 동시에 구멍에 들어갈 칼을 추가로 제작하여 목형과 결합하여 완성합니다. 완성된 목형은 패키지의 톰슨 공정에서 사용되어 패키지 성형에 준비작업을 마치게 됩니다.
2) 톰슨(도무송) 작업
(1) 면방 작업

종이는 접히는 방향에 따라 잘 접히지 않거나 찢어질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접히는 부분에 미리 길을 들이는 과정을 면방 작업이라고 합니다. 면방 작업은 박스의 디자인과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되지만, 대부분의 경우 박스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필수적으로 시행됩니다.
(2) 톰슨 작업

면방 작업이 완료되면, 목형을 톰슨 기계에 장착하여 절단 작업을 진행합니다. 톰슨 공정은 ‘Die Cutting’이라고도 불리며,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며 종이를 정밀하게 절단합니다. 이 과정에서 압력을 조정하고 작업 상태를 점검하는 숙련된 기술자의 경험이 중요합니다.
(3) 시야게(탈지) 작업

톰슨 작업 후 불필요한 종이를 제거하는 과정이 탈지 작업입니다. 업계에서는 ‘시야게 작업’으로 불리며, 톰슨 기계에서도 일부 자동 탈지가 이루어지지만, 최종 마무리 단계에서는 손으로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탈지 과정에서 나온 폐지는 재활용되어 환경을 고려한 생산 공정을 완성합니다.
2. 박스 성형에 있어서 톰슨 공정의 중요성
지금까지 박스 제작에서 핵심 공정인 톰슨 작업을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이 공정은 단순한 절단 작업이 아니라 정밀한 설계, 숙련된 기술, 친환경적인 마무리 과정을 포함합니다. 바른상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품질 높은 박스를 제작하며,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패키지 제작, 이제는 고민하지 마세요!
더 쉽고 빠르게 접근하는 방법, 바른상자에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