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키지 접착 공정 | 박스를 편리하게 만드는 방법

박스제작 접착공정

대량 생산이 본격화되고 효율성이 증대되면서, 포장 용기를 제작하고 포장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규격화가 이루어졌고, 현재는 다양한 형태의 박스가 표준화되어 생산되고 있습니다. 제조 방식에서 효율성이 중요시되지만,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다품종 제품이 시장에 등장하면서 제조업체는 더욱 효율적인 작업 방식을 개발해 왔습니다. 접착 공정은 박스를 완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자, 박스를 쉽게 접고 펼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러한 접착 공정에 대해 바른상자가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패키지를 좀 더 편리하게 만들 수 있는 접착공정

우리나라에서 “칼라박스”라는 용어는 컬러로 제작된 박스를 뜻하지만, 해외에서는 “Folding Box”로 정의됩니다. 이는 접고 펼 수 있는 박스를 의미하며, 제품 출고 시 접힌 상태로 납품됩니다. 접힌 상태로 납품하면 공간 활용이 용이하여 이동 및 보관에 유리하지만, 다시 펼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단점입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박스가 쉽게 펼쳐질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박스를 조립해야 하는 조립박스와 접착 방식의 차이를 다음에서 설명하겠습니다.

1. 조립박스 VS 접착박스

보리당 우유밀크티 친환경박스

조립박스: 접착 공정을 거치지 않고 펼쳐진 상태로 납품되며, 작업자가 조립하여 완성합니다. 주로 W형/G형 박스나 상하 조립형 박스에 사용되며, 튼튼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이 장점입니다. 하지만 조립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박스제작 에이블디자인 웹툰 굿즈박스

접착박스: 대부분의 박스는 접착 공정을 거칩니다. 접착 방식은 제품의 형태와 특징을 고려해 작업 초기 단계에서 결정되며, 수정이 어렵기 때문에 신중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2. 접착박스의 종류

Folding Box를 제작할 때, 빠르게 제작하기 위해 기계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접착은 형태, 사이즈, 가공 방식에 따라 다르게 셋팅 되기 때문에 전문적인 기술력이 필요합니다.

박스제작 접착공정

풀접착 방식 : 흰색 수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이 필요한 부위에 기계로 접착합니다. 풀접착은 단면접착 부터 3면, 4면, 6면, 8면까지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접착 면이 늘어날 수록 작업 난이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최소 제작수량과 비용이 증가됩니다. 접착제의 원활한 경화를 위해 기계 마지막 공정에 프레스 과정을 통해 제품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좀 더 완성도 높은 패키지가 완성됩니다.

글루 방식: 수성 접착제의 경우, 종이면에만 접착이 가능합니다. 라미네이팅 코팅이 되어 있거나 PET재질은 풀접착으로는 불가능 하지요. 이럴 경우,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글루건과 같은 고체 접착제를 녹여 사용하여 해결합니다. 글루 방식은 식품용 트레이나 냉동 패키지를 제작할 때 사용하며, 특수접착의 영역이기 때문에 이를 대응할 수 있는 업체를 선정해야 합니다.

image

철접착 방식 : 철접착은 강한 스템플러를 접착면에 찍어내어 견고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무게가 무겁고 두꺼운 박스에 사용되며, 농산물 포장이나 한약 박스 등에 적용됩니다. 강한 접착력을 가지지만 철심 노출로 인해 디자인이 손상될 수 있으며, 노출 된 철심이 내용물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재되는 제품에 따라 사용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이합접착 방식 : 이합접착은 박스 제작에 있어 박스를 제작할 수 있는 크기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두 면을 봉합하는 방식입니다. 보통 크기가 큰 RRP제품에 주로 사용되며, 글루방식과 철접착 방식이 있습니다.

제목을 입력해주세요 001 2024 09 13T101543.176
박스제작 | 고급 슬리브형 패키지

기타 수접착 : 패키지의 형태는 어느정도 정형화 되어 있는 이유는 기계 설비의 발달로 인하여 좀 더 합리적인 가격으로 빠르게 제품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특별한 패키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계 설비로는 구현이 불가는 한 경우도 발생하는데요. 이럴 경우 인력을 사용하여 원하는 부위에 접착 할 수 있습니다. 제작 기간이 길고 비용이 높지만, 독창적인 패키지를 원하는 경우 적합합니다.


2) 접착 공정의 종류

박스제작 접착공정

단면접착 (1면 접착)

측면을 기계로 접착하고 위, 아래는 뚜껑 혹은 십자 방식 등으로 처리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방식입니다. 택배박스나 단상자류에 사용됩니다.

2면 접착

바닥이 넓고 높이가 낮은 제품에 사용되며, 도넛 박스나 핫도그 트레이 같은 테이크아웃 패키지에 적합합니다.

3면접착

박스제작 접착공정

펼쳤을 때 바닥 마감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단상자에 많이 사용됩니다. 조립과 셋팅이 간편하여 패키지의 표준이 될 만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접착 방식입니다.

기타 특수접착

4면접착: 트레이 형태 박스 제작 시 활용되며, 셋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난이도가 높은 방식입니다.

6면접착: 4면접착의 발전형으로, 주로 선물세트 박스 제작에 사용됩니다. 셋팅 시간이 오래걸리고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적합합니다.

이합접착: 큰 박스 제작 시, 두 개의 판을 접착하여 하나로 만드는 방식입니다. 이합접착기는 물론, 수작업으로도 제작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다양한 접착 공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바른상자는 패키지 제작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드리며, 고객의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패키지 제작! 이제 고민하지 마세요! 바른상자에서 쉽고 간편하게 해결하세요!